인생은 오십부터래...

인생은 오십부터래... ^^

2011년 7월 17일 일요일

Canon EOS 650 (2)

Canon EOS 650 (2)





우리는 망각의 동물이다. (그런가?^^)
ASA 200 필름을 집어넣고 ASA 다이얼은 100 에 맞추기도 하고, 때론 아예 맞추는 것도 잊는다.
졸업식장에서 시작 전부터 마구마구 사진을 찍어대다가, 정작 졸업장 받는 순간에 필름이 떨어져 허겁지겁 필름을 갈아끼우느라 부산을 떤다.

이런 우리를 위해서 카메라 회사들은,
(1) 카메라 뒷면에 인포 포켓을 만든다?
---> 필름 박스에서 껍데기를 찢어넣는 것도 귀찮고, 뽀대나는 카메라 뒤에 후줄근한 필름 박스 쪼가리가 떡 하니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더더욱 싫다.
(2) 필름실 도어 쪽에 조그만 창을 만들어 들어다 볼 수 있게 한다?
---> 그 쪼그만 창으로 들여다보기도 싫고 잘 보이지도 않는다.
(3) 자, 그럼 카메라가 필름을 스스로 인식하고 뷰파인더 스크린이나 셧터버튼 옆에 표시하면?

자, 그러면 훨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EOS 650 의 배터리를 체크하면서 계속하기로 하자.





리튬 2CR5 건전지 하나가 들어간다.

몇 가지 용어를 알면 더 쉬워진다.
ASA (American Standards Association) : 미국표준식 film speed 등급
DIN (Deutsche Industrie Norm) : 독일규격식 film speed 등급
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 국제표준협회식 film speed 등급
DX (Digital Index) codes: 이진법 (binary) 으로 표기된 코드

독일에서 쓰이던 DIN, 미국에서 쓰이던 ASA 그리고 다른 기타의 필름 스피드 등급을 국제적으로 통일한 것이 ISO 인데 방식은 DX codes 를 사용하여 카메라가 자동인식 (CAS : Camera Auto Sensing) 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뭐를 말하는지 보도록 하자.



DX 코드가 새겨진 필름은 한 부분에 은색과 검은 페인트를 이용하여 이진법 신호를 준다.
일반적으로는 위 사진과 같이 12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예를 들어어떤 칸이 은색이면 카메라의 contact 와"0" 가 되고 검은색이면 "1" 이 되는 식이다.

1번과 7번은 공통으로 필름의 존재유무 및 정위치 인식을 하게 해준다.
2번에서 6번까지는 film speed 를 표시하고,
8번에서 10번까지는 필름이 몇 방짜리 인지를 표시하며 (exposure number),
11번 12번은 인화시 어느 정도까지 over/under 노출을 용인할 수 있는가 (exposure latitude)

film speed 의 몇 가지 예를 들어보면,

 2번 칸3번 칸4번 칸5번 칸6번 칸
100검정검정검정
200검정검정
400검정검정검정
1000검정검정

따라서 위 사진의 필름의 경우, 3번과 5번 칸에 은색이 칠해져 있으므로 ISO 100 필름.

또 exposure number 예를 들어보면,

 8번 칸9번 칸10번 칸
12방검정검정
24방검정
36방검정검정

다시 위 필름의 경우, 8번과 9번 칸이 은색이므로 24방 짜리 필름이라고 인식된다.
11번 12번은 점차 중요도를 잃어가므로 그냥 지나가자.

자, 그럼 무엇이 이 은색들과 검은색의 차이를 인식하는가?



바로 필름실 안에 늘어서 있는 DX contacts 들의 몫이다.
필름통의 DX 코드 배열에 맞춰 6개 짜리 contacts 가 두줄로 (총 12개) 배열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EOS 650 에는 한 줄로 6개만 있는 것으로 보아 exposure number 쪽은 인식하지 않도록 한 모양이다.
왜 ASA 쪽이 아니고 exposure number 쪽이냐?
카메라의 microprocessor 가 Auto-exposure 설정할 때 ASA 값은 반드시 필요하므로 생략할 수가 없는 이유가 되겠다.

오늘도 어제에 연이어 머리에 쥐가 나는 내용이다.
하지만 재미없어도 하나씩 둘씩 알면서 지나가면 쌓이므로....좋잖아? ^^



여하간 배터리 끼우고, 메인스위치를 돌려 초록색 사각형에 맞춰주고 뒷면의 조종판을 열고 배터리 표시 단추를 누르니, 메인 스크린에 점선 3개가 나타났다. (상태 좋음 표시)
자꾸만 눌러보는 사람이 있는데, 그러더라도 연속 10초 이상은 누르지 말자.
잘못하면 카메라가 화내는 수가 있으니까...


(2008.04.0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