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도대체 AI (Aperture indexing) 이라는 것은 무엇인가?

FM 을 전면부에서 가만히 보면 렌즈를 붙이는 flange 부위 밑에 또 하나의 ring 이 있다.
이 ring 이 AI ring 인데, 여기에는 meter coupling lever 라고 불리우는 네모난 돌출부가 있어서 이것이 AI type 의 렌즈를 끼웠을 때 렌즈와 함께 맞물려 주는 역할을 한다.
AI type 의 렌즈를 보도록 하자.
아래 사진을 보면 렌즈의 접합부쪽으로 meter coupling ridge 라고 부르는 튀어나온 부분이 보이는데, 이 부분의 왼쪽 단면이 FM 본체의 meter coupling lever 오른쪽 부분을 걸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결과적으로 그 lever 밑에 걸려있는 ring 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 ring은 연결선과 기어 등을 통하여 가변저항 위의 brush 를 움직이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ASA 다이얼에 정보를 연동, 결과적으로 meter 의 움직임으로 나타나게 된다.
아-, 말로 설명하자니 너무 복잡해서 글을 쓰는 나도 헷갈린다. --;;

그러면AI type 의 렌즈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첫째, 위에서 말한대로카메라 본체의 meter coupling lever 와 연동할 수 있는 meter coupling ridge 가 있다.
둘째, 그 옆으로 보이는 meter coupling shoe (어떤 이는 콧구멍이라고 부르고, 어떤 이는 토끼귀라고 부르지만 이것이 옳은 명칭이다) 에 구멍이 뚫리어 있으면 AI 혹은 후속타 AI-S.
이것에 구멍이 없는 것은 Non-AI 라고 보면 된다.
한가지 더 첨언하자면, E 씨리즈나 후기 AF 들은 meter coupling shoe 가 없는 경우도 있다.
그럴 땐 렌즈 위에 각인된 minimum aperture value (가장 큰 숫자) 를 보고 파란색이면 AI 혹은 AI-S, 오렌지색이면 AI type이 아니다 라고 판단하면 된다.
오늘은 아는체를 너무 많이 했으므로 이제 그만!^^
......
그래도 찍은 사진은 보고 넘어가야겠지?^^

이 친구도 점잖은 편.
까다롭지 않게 LR44 배터리 두 개면 감사한다.
가장 쉽게,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배터리를 쓰는 카메라가 좋은 친구여.^^
(특별한 배터리 또는 비싼 배터리를 요구하는 친구들이 종종 있는데...흠흠흠)

배터리는 셧터와 상관없고 오직 meter 를 위해서만 필요하다.


특별히 뜯을 일도 없는데 베이스를 연 것은 먼젓번에 한 Nikon FE 와 비교해보려는 의도인데, 별반 차이가 없다.
하기야 1년 상관으로 출시된 자매품인데다가, FM 에 전자식 요소를 첨가한 것이 FE 이다 보니 큰 차이가 없는 것이 당연한지도 모른다.
top cover 를 벗겨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으리라...

고무덩이를 이용하여 필름 어드밴스 레버 너트를 풀어준다.
위에 붙여진 가죽을 뜯어내고, 그 속에 있는 두 개의 구멍을 스패너렌치로 돌려줄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손쉽고 상처도 덜 난다.
기존에 쓰던 고무덩이가 없어져서 피아노 받침으로 사용하던눔을 가져왔더니 상태가 영...--;

여하간 빼냈다.
필름 어드밴스 레버에 스프링 구멍도 FE 와 꼭 닮았다.
결국 그 밑에 스프링이 있다는 이야기...
(2009.01.04)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