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오십부터래...

인생은 오십부터래... ^^

2011년 7월 17일 일요일

Canon Canonet 28 (2)

Canon Canonet 28 (2)







준비가 되었으면, 먼저 작업대 위에 A4 용지 두 장을 테이프로 고정시킨다.
차광폼 녹은 것이 마치 잉크처럼 진하고 잘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작업대 판을 더럽히지 않으려면 이렇게 해두는 것이 좋다.

먼저, 대나무 막대기로 차광폼을 살살 긁어내기 시작한다.



일단은 알콜을 사용하지 않고 긁어낼 수 있는 데까지 긁어낸다.
이 정도 상태까진 아직은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안 떨어지는 부분에 알콜을 적시면 차광폼과 차광폼을 붙인 접착제가 한꺼번에 반죽이 되면서 녹아나오기 시작한다.
(알콜이 남는다고 맛보면 안됨)



되도록이면 모두 면봉을 이용하여 닦아내도록 하자.
면봉을 많이 쓰게 되더라도 불평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top 커버와 필름실 사이의 좁은 홈은 대나무 막대기를 이용한다.



깨끗이 또 깨끗이......
(윗 사진 오른쪽 상단은 수묵화가 아니고, 차광폼이 녹아나온 것)



모두 닦아내면, 밑에 깔았던 A4용지를 통째로 싸서 버린다.

깨끗해졌다.
(1)은 면봉 사용함의 답답함을 견디지 못한 모 인사가 대나무 막대기로 긁어보다가 흠집이 난 모습이다.
(2)는 그 모 인사가 면피용으로 유성매직을 사용, 캄플라지한 곳.
카메라의 피막이 생각보다 약하고 얇았다.
그리고 실제로 저 부분들은 차광폼에 가려워질 부분들이므로 꼭 칠하지 않아도 무방할 듯.

자, 지금부터는 초등학교 공작시간이다. (아직도 있는지 모르지만...)

차광폼이 들어갈 카메라의 칫수를 대충 잰다. (물론 정확할수록 좋겠지만서도...^^)
그리고 차광폼을 뒤집어서 그 칫수대로 자를 대고 선을 긋는다.
일반적으로 뒷면 종이는 미끈미끈한 상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샤프연필을 이용하여 흔적을 내는 방식도 괜찮다.
14cm x 0.8cm, 14cm x 0.4cm 등.



밑에 받친 꺼먼 것이 뭐냐고?
그냥, 작업대 위 레자가 칼질에 상할까봐 주간지 하나 깔았음.



쾌도난마(快刀亂麻)!
...는 아니고, 그냥 쾌도 까지만.
칼질을 잘해야 나중에 모양이 예쁘게 나오니, 양미간에 힘을 팍 주고 손끝에 기를 모아서...
...자르자.



(2007.11.26)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