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 이 부분을 뭐라고 표현하여야 하나?
영어로는 hinge, 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돌쩌귀 또는 경첩.
하지만 엄밀하게 이야기 하자면 그 어느 것도 아니다.
단지 그것들이 달려있는 옆탱이 벽일 뿐.
하여간 그곳에도 새로운 차광막을 설치한다.
조금 두께가 얇은 관계로 차광폼을 사용하지 않고 조금 톡톡한 헝겊을 사용하기로 한다.

막상 옆탱이 벽이라고 써놓으니 좀 뭐해 보인다. (어흠, 어흠^^)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헝겊을 붙인다.

또 옆구리에 조금 삐져 나온 것은 얇은 드라이버나 납작한 핀셋으로 hinge 밑쪽으로 몇 번 훑어주면 싹 밑으로 밀려들어가 깨끗이 마무리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차광폼 끝들을 다듬어주면서 깨끗이 정리.
이제 다 된 모습을 보기로 하자.
먼저 back 커버.

깨끗하게 되었다.
다음 전체적인 모습.

보기에 좋았더라~
새 차광폼들을 설치하고 나면 백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조금 뻑뻑하게 부피감이 느껴진다.
백 도어도 딸깍 - 훌렁 이 아니고, 떨꺽.... 손으로 잡아 열어준다.
이렇게 사진 찍고 글로 쓰면서 하니 굉장히 오래 걸리는 작업 같지만, 사실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재료만 있으면, 글쎄 한 시간이면 족하지 않을까?
절대 어려운 일이 아니니, ebay에서 차광폼 (light seal)을 구입, 연로하신 카메라 친구들에게 기쁨을 주는 것도 좋은 일일 듯.
물론 청계천이나 영등포에서도 팔겠지만 문제는 과연 그렇게 쪼끔을 과연 잘라 팔까 하는 점.
----------------------------------------------------------------------------------------------------------------------------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rangefinder camera와 SLR camera에 대해 조금 더 알고 가자.
rangefinder란 촛점을 맞추는 장치인데, 이 방식을 채택한 카메라가 rangefinder camera.
그러면 rangefinder는 어떤 방식으로 촛점을 맞추는가?
일단 rangefinder는 두 개의 별개인 렌즈를 사용,이미지를 받아들인다.영어로는 hinge, 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돌쩌귀 또는 경첩.
하지만 엄밀하게 이야기 하자면 그 어느 것도 아니다.
단지 그것들이 달려있는 옆탱이 벽일 뿐.
하여간 그곳에도 새로운 차광막을 설치한다.
조금 두께가 얇은 관계로 차광폼을 사용하지 않고 조금 톡톡한 헝겊을 사용하기로 한다.

막상 옆탱이 벽이라고 써놓으니 좀 뭐해 보인다. (어흠, 어흠^^)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헝겊을 붙인다.

또 옆구리에 조금 삐져 나온 것은 얇은 드라이버나 납작한 핀셋으로 hinge 밑쪽으로 몇 번 훑어주면 싹 밑으로 밀려들어가 깨끗이 마무리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차광폼 끝들을 다듬어주면서 깨끗이 정리.
이제 다 된 모습을 보기로 하자.
먼저 back 커버.

깨끗하게 되었다.
다음 전체적인 모습.

보기에 좋았더라~
새 차광폼들을 설치하고 나면 백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조금 뻑뻑하게 부피감이 느껴진다.
백 도어도 딸깍 - 훌렁 이 아니고, 떨꺽.... 손으로 잡아 열어준다.
이렇게 사진 찍고 글로 쓰면서 하니 굉장히 오래 걸리는 작업 같지만, 사실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재료만 있으면, 글쎄 한 시간이면 족하지 않을까?
절대 어려운 일이 아니니, ebay에서 차광폼 (light seal)을 구입, 연로하신 카메라 친구들에게 기쁨을 주는 것도 좋은 일일 듯.
물론 청계천이나 영등포에서도 팔겠지만 문제는 과연 그렇게 쪼끔을 과연 잘라 팔까 하는 점.
----------------------------------------------------------------------------------------------------------------------------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rangefinder camera와 SLR camera에 대해 조금 더 알고 가자.
rangefinder란 촛점을 맞추는 장치인데, 이 방식을 채택한 카메라가 rangefinder camera.
그러면 rangefinder는 어떤 방식으로 촛점을 맞추는가?

그림처럼, 메인 이미지는 뷰파인더를 통하여, 또 보조 이미지는 보통 중앙의 카메라 렌즈 위의 조그만 창으로 받아들인다.
그 보조이미지는 뷰파인더를 들여다 보았을 때 중앙에 작은 부분에 나타나는데,메인 이미지와 보조 이미지를 조정장치 (대부분 중앙 렌즈의 링 형태로 존재)로 합치시키는 점이 촛점이 맞는 곳이다.
그림에서는 조정장치가 보조 이미지를 받아들인 거울이 회전하면서 각도를 조절, 메인 이미지와 합치되는 모습을 설명하고 있다.
(그림출처 www.camerapedia.org)
rangefinder camera 와 같이 두 개의 렌즈로 이미지를 받아들이는 방식의 취약점은 아주 가까운 거리를 촬영할 때 이다. (parallax)

일단 이 방식은 이미지를 바라보는 렌즈와 이미지를 사진기로 받아들이는 렌즈가 하나라는 것이다.
즉, 카메라가 필름이나 센서로 보내기 위해 받아들이는 그 이미지를 우리가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것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카메라 중앙의 미러.
저 상태에서는 붉은 선의 흐름처럼 이미지가 들어와 거울에 반사 (reflex) 된것을 펜타프리즘을 통하면서 회전, 이미지가 우리 눈으로 들어온다.
셧터 릴리즈 버튼을 누르면, 거울이 번쩍 위로 들리면서 붉은 선의 흐름이 반사가 아니라, 그냥 거울 밑을 통과하여 필름에 이미지가 맺히는 것.
* 그림에 Top View 라고 써있는 것은 틀렸다. Side View 가 맞을 듯... ^^
(그림 출처 www.howstuffworks.com)
Canonet 28의 top 모습을 다시 보자.
메인 창과 보조 창이그림에서 보았듯이위치하고 있다.

Leica M 씨리즈나 Contax G 씨리즈 등 대부분의 rangefinder camera들이 윗 사진처럼 비슷한 외모의 top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이유가 있지 않은가?
나만 빼고 모두 이미 알고 있었다고?
끙 --;
(2007.11.27)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