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오십부터래...

인생은 오십부터래... ^^

2011년 7월 18일 월요일

Minolta Maxxum 9000 (2)

Minolta Maxxum 9000 (2)








Minolta Maxxum 9000 은 2개의 AA 건전지를 사용한다.
rechargeable Nickel-Metal Hydride (NiMH) 1.2v 인데 괜찮을까 모르겠다.
매뉴얼에는 alkaline-manganese, nickel-cadmium 나 carbon-zinc 의 배터리를 사용하라고 했는데......



일단 전원은 들어온다. (저번 찍을 땐 Alkaline 을 사용해서 문제가 안되었음)^^
그리고 이 멋진 친구에게도 나름대로 아픔이 있다.
바로 LCD 귀퉁이로 보이는 'bleed' 현상으로, 외주 LCD 업체로부터 받은 불량품들이다.
보통 90% 의 Maxxum 9000 이 이 같은 현상을 보이는데, 주로 귀퉁이 부분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심한 경우는먹물 같은 부분이 둥그렇게 정보창을 둘러싸기도 하지만, 완전히 다 까맣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한다.



사진에 보이는 Maxxum 9000 의 bleed 현상은 상당히 양호한 상태라 하겠다.
그럼, 고치는 방법은?
LCD 를 교체하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 --;;
그러자면, 고물카메라에서 괜찮은 LCD 부품을 이식하거나, 아니면 부품점에서 구매하든지 둘 중의 하나이다.



그래서, 한 번 해보자는 건데......^^
top cover 를 분해하려면 역시 rewind 뭉치부터 시작해야겠지?
rewind lock 을 release 해주면서, 상당히 재미있게 생긴 rewind crank 를 위로 뽑아준다.

일단 e-bay 에 올라오는 눔에 관심을 좀 갖기로 하고, 전문부품점에도 문의 이메일을 보내기로 하자.



다른 카메라들처럼 밑부분을 붙들고 rewind crank 를 돌려보다가, 조금 더 힘 주면 부러뜨릴 것 같아서 포기하고 관찰 mode 로 돌입. --;
운 좋겠게도 숨어있는 고정나사를 금새 발견, 30초 만에 기분 풀어짐. ^^



고정나사를 빼주고 위로 잡아뽑으면, rewind crank set 와 fork 모양의 부품이 분리된다.



고정링은 스패너렌치로 살살 돌려 뽑아주고......
돌리는 중, 밑에 있는 metering select dial 이 자꾸 거추장스러워도 신경 끄도록 하자.
멋대로 돌아다녀도 별 상관 없으니까...



고정링을 제거하고 (멀리 쓰러져 있는 고정링이 보임) metering select dial 은 거저먹기로 그냥 집어올리면 된다.
재조립시에는 metering select dial 의 indicator 부분 밑에 있는 사각형 구멍에 화살표로 보이는 돌출핀을 끼우면 모든 것이 OK.

(2008.10.29)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