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오십부터래...

인생은 오십부터래... ^^

2011년 7월 18일 월요일

Minolta Maxxum 9000 (3)

Minolta Maxxum 9000 (3)





필름 어드밴스 레버를 뜯는 '비밀의' 고정나사는 밑에 숨어있다.
자, 다 같이 허리를 숙이고 밑에서 위로 쳐다봅니다.



카메라를 뒤집으면 된다고? ㅋㅋㅋ
여하간 어드밴스 레버 밑에 숨어있는 고정나사를 찾을 수 있으면 그게 그거 아닌가?^^
자,자, 조용히 진도 나갑니다.



장식용 플라스틱 advance lever knob 을 분리하면 그 밑으로 금속으로 된 진짜 것이 있는데, 그것을 바짝 몸체에 조이고 있는 나사가 있었으니, 이름하여 winding lever pressure!
왜 그렇게 부르는지는 묻지말자.
개똥이를 왜 개똥이라고 부르는지는 아는 사람만 아는 것과 똑같은 거다.
조금 빡빡하게 pressure 로 조여져 있으니까 드라이버 쥔 손에 침을 좀 뱉고 돌려야 쉽다.^^



그 밑으로 스패너렌치로 돌리기 적합한 금속재질의 고정링.
돌려줍니다.



가뿐하게 핀셋으로 잡아낸다.
이럴 때 꼭 '왜 맨손가락으로 안하느냐' 고 묻는 사람 있다.^^
나이가 들면 손끝이 자꾸 건조해져서 잡는 것 마다 미끌어지기 쉽상이다.
핀셋이 유용하다는 건 써보면 알게 된다. (젊으신 분들은 이 부분에서, 이번 겨울엔부모님을 위해 콜드크림을 사드려야겠다고 결심하는, 큰 마음의감화가 있으시길 빈다.)



메인 ON/OFF 스위치도 들어내는데, 밑에 홈이 저쪽에 보이는 핀과 끼워진다는 것을 기억하자.



자, 지금부터는 top 커버 둘레둘레에 자리한 고정나사를 찾아보자.
윗 사진에 보이듯이, 측면에 하나 그리고 eye-piece 양쪽으로 하나씩.



전면부로 와서, Minolta 로고 밑으로 두 개.
그리고, grip 이 저런 식으로 튀어나오고 그 속에 배터리홀더가 있는 대부분의 카메라들은 물음표로 표시된 부분, 특히 하얀색 페인트가 칠해진 저 끝부분에 고정나사가 하나 있다.
허리를 숙이고... 아니지, 카메라를 뒤집어서 확인하도록 하자.



저 안으로 고정나사가 보인다. (세 개나...--;;)
양 쪽으로 위치한 두 개는 배터리 접점을 위한 고정나사들이고, 가운데 있는 고정나사만 top 커버를 여는 것과 관련이 있다.
드라이버 길이가 짧으신 분들은 조금 고생이 예상되는 지점.^^

(2008.10.3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