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오십부터래...

인생은 오십부터래... ^^

2011년 7월 18일 월요일

Minolta XD11 (4)

Minolta XD11 (4)






이번 주말엔 수리 완료된 카메라 3대가 작업대를 떠나 새로운 주인들의 품으로, 그리고 또 지난 토요일 새로 수리를 위해 찾아들어온 3대의 카메라가 작업대 선반으로 올라오는 등 부산한 가운데 XD11 의 진도를 서둘러야겠다고 마음을 먹어본다.
... 마음을 먹어본다는 것이다. ^^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한 번 숨가쁘게 진도를 나가보자.



shutter speed dial 을 분해하기 전에, 안전장치로 mode selector 는 M (manual) 에, shutter speed 는 B (Bulb) 에 놓고 작업에 들어가자.
스패너렌치를 이용하여 retaining ring 을 돌려준다.



shutter speed dial 을 살살 들어올리면 셧터 릴리즈 버튼이 그 안에 담긴 채로 들어올릴 수 있다. (빠져도 상관 없음... 다시 끼우면 되니까... ^^)



shutter speed dial 밑에서 부드럽게 비벼주며 돌아가주는 2개의 커다란 washer.
부드럽게 들어내주면 이쪽 부분 분해 끝.



왼쪽으로 가서 붙들게를 이용, 밑을 잡아주면서 film rewind knob 를 돌려서 풀어준다.
film speed 를 ASA 100 에 맞춰 놓고 작업.



shaft 에 작은 washer 가 붙어있다.
잊지 말고 챙겨놓자.



film speed dial 을 위에 얹혀있는 노출보정다이얼과 함께 들어내준다.
재조립시엔 다이얼 밑의 홈에 제일 앞으로 보이는 뭉특한 검정색 핀이 결합되게 된다.
약간 복잡해 보이지만,가만히 뜯어보면 의외로 간단히 얽혀있다.

detent plate?
조금 생소한 기계쪽 단어지만, 쉽게는 멈춤쇠 또는 톱니바퀴의 걸쇠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잘 보면 exposure compensationdial 이 +2, +1, 0, -1, -2의 다섯 단계로 되어있듯이 detent plate 에도 그와 상응하는 5개의 홈들이 톱니바퀴 흔적 마냥 갈라져 있는 것이 보인다.
지금 걸쇠는 '0'에 해당하는 구멍에 들어가 있는데, 노출보정을 위해서 exposure compensation lever 를 안쪽으로 누르는 순간 걸쇠는 원래의 구멍에서 빠져나오고, lever 의 움직임에 따라+ 나- 쪽으로 움직여서 알맞는 구멍을 찾아 들어가는 원리이다.
(got that? ^^)



brass bushing 은 나사에 의해 조여지지 않고 exposure compensation lever 끝에 연결된 스프링식 두 걸쇠 틈에 가볍게 끼워져 있다.
딸깍 하고 빼주면 되고, 재조립시에도 걸쇠를 살짝 벌려주고 넣어주면 두 걸쇠가 꽉 잡아준다.



그리고 detent plate 를 양쪽에서 고정하고 있는 나사를 풀어주면 수수수숙 모두 빠져나온다.
재조립시에는 장식링을 먼저 놓고, exposure compensation lever 를 shaft 에 끼운 후 장식링의 테두리 중 함몰된 부분에 걸쳐 놓은 후 detent plate 를 정위치 시키고 고정하면 된다.

좀 바쁘게 달려왔지? ^^

(2009.02.16)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