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오십부터래...

인생은 오십부터래... ^^

2011년 7월 18일 월요일

Minolta XD11 (6)

Minolta XD11 (6)






base cover 양 옆으로 붙은 고정나사 2개를 제거하면 바로 base 로 들어갈 수있다.
base 는 중앙의 삼각대꽂이를 기준으로 철저하게 두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왼쪽은 기계적인 구성, 그리고 오른쪽은 전기적인 구성.

왼쪽의 기계적인 구성에 얽힌 설명들만 하여도 아마 책 한권은 나올 것이니... ^^
몇몇 중요한 부분만 체크하면서 넘어가도록 하자.



mirror release 역할을 하는 M1 armature.
shutter release button 을 누르면, M1 armature 가 카메라 앞쪽 (사진에서는 윗쪽) 으로 움직이면서 mirror release lever 를 때려준다. (아얏! ^^)

안전핀 모양으로 생긴 중앙의 reset switch.
필름을 한 방 장전하면 두 접점이 달라붙고, 셧터 개방 후 윗 사진처럼 두 접점이 떨어진다.
만약 달라붙지 않는다든지, 접촉이 안좋다든지 하면 나타나는 딱 한가지 증상.
셧터 개방 불능.

체크하는 방법만 알아두고 넘어가자. (바쁘니까...^^)
짧은 핀의 전압은 항상 2.5V (붙었던 떨어졌던지 상관없이), 긴 핀의 전압은 떨어졌을 때 0V, 붙었을 때 2.5V 를 나타내주어야 한다.

그러니까, 셧터가 말을 안들을 땐 제일 먼저 밑뚜껑을 열고 reset switch 를 체크하도록 한다.
다음엔 필름 장전 후 M1 armature 를 카메라 앞쪽으로 밀어주어서 철컥 하고 떨어지면, 기계적인 장치엔 문제가 없으니....전기쪽으로 ...--;;



하, 이쪽은 더 복잡하니까....음...
diaphragm release maganet M2 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자.
배터리 홀더를 감싸고 있는 두 개의 고정나사를 풀면, 그 안에 M2 armature 와 coil 이 숨어있다.

이들의 작동 방법만 설명해도... 이것도 책 한 권 분량이므로... ^^
오늘은 그냥 구경만 하고, 다음에 기회가 있을 때 이쪽을 마저 하도록 하자.
언제...?
......에....
언제 다시 고장난 Minolta XD11 을 다시 만나게 될런지에 달렸겠지?
세상은 넓고 고장난 카메라는 많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일단 이 친구를 어서 마무리해서 내보내도록 하여야겠다.
줄 서있는 친구들의 눈흘김을 도저히 감당할 수 없으니까..... ^^
들어올 땐 어떤 상태로 왔건, 나갈 땐 깨끗히 닦아줘야제......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다시 붙인 leatherette 의 상태가 제법 괜찮아 보인다.
위 아래로 조금씩 짧은 것 빼고는...
겨울도 지나가는데, 옷 좀 짧으면 좀 어때?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나름대로 괜찮아 보이는군...^^
보내는 이 마당에 한 수 하고 넘어가야지?

송인(送人)

雨歇長堤草色多 (우헐장제초색다)
送君南浦動悲歌 (송군남포동비가)
大洞江水何時盡 (대동강수하시진)
別淚年年添綠派 (별루년년첨록파)

비 갠 뒤에 긴 언덕에 풀빛이 짙어 오는데
남포에서 그대를 보내니 슬픈 노래가 나오는구나.
대동강 물은 언제 마를 날이 있으리오
해마다 이별의 눈물 푸른 물결에 더하는 것을.
--- 정지상


(2009.02.19)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