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 스위치를 인덱스의 ON 으로 맞춰 놓고, 스위치 판은 간단히 들어내면 된다. (ON 에 놓는 이유는 분해하면서 청소하면서 혹시 테스트 할 일이 있을까봐... OFF 라도 상관은 없겠다.)

나중에 재조립 할 때 도움이 되라고 고정핀 옆 공간에 마커로 체크.
암만 체크를 해놓아도 깨끗이 깨끗이 하면 다 지워지므로 적당히만 깨끗히 해야 한다.
다이얼과 인덱스 사이에 낀 엷은 모래 (? 표현이 이상하군) 혹은 큰 먼지 아니면 고운 흙먼지...
여하간 그런 것들이 보인다. (제거해야 할 대상들!^^)
아, 그리고 마커 끝 밑으로 보이는 것은 베어링 알이다.
그리고 그 밑에 아주 작은 스프링이 베어링 알을 받치고 있다.
인덱스에 맞추려고 다이얼을 돌릴 때 클릭 클릭 하며 동작을 구분해주는 역할을 한다.
잃어버리지 않게 잘 빼내서 보관한다.

이번엔 필름 어드밴스 레버를 분해한다.
대칭으로 마주보는 홈이 있어서 스패너 렌치를 사용하였는데, 표면에 잔 상처가 날까 염려되는 경우에는고무덩이를 써도 잘 열린다.

어드밴스 레버 장식판을 떼어낸 자리에 얼룩들이 보인다.
주로 비가 흘러들어간 흔적으로 생각되는데 윈덱스로 쉽게 지워진다.
그리고 그 밑으로 보이는 건 스프링와셔 인데, 캐논 A-1 은 5~6개를 와셔를, AE-1은 2~3개의 와셔를 사용한 것에 비하면 원가절감의 눈치가 보이는 곳이다.
끼워져 있는 모습을 잘 기억하고 핀셋으로 들어낸다.

저 튼튼한 황동 링은 필름 어드밴스 샤프트를 고정하는 역할로 와인딩 할 때 마다 샤프트가 어드밴스 레버를 따라 휘딱휘딱 거리면 안되니까 단단한 힘으로 꽈악 잡아준다.
으음...뾰족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돌려준다.
작은 흙먼지들이 저기까지도 들어와있다. (무서운...누움들^^)

Minolta XG-1의 전반적인 특징은 simple and 쉽다.
전반적으로 머리 쓸 일 없이 일사천리로 분해가 진행되는데 단 한 군데.
하긴 이것도 3초만 생각하면 그럴 일이 아니었는데 마냥 하다보니 웃기는 일이 생긴다.
저 윗 사진의 화살표가 가르키는 것은 셧터 스피드 다이얼을 돌릴 때 'A'로 부터 빠져나올 때 사용하는 단추이다. (ASA는 다이얼 가장자리를 들어올린채 돌려 맞춤)
그런데 아무 생각없이 하다보니 고정핀으로 착각, 뽑아내려 한참을 옥신각신 하다가, 잘못을 깨닫고 혼자서 얼굴 붉히며 머쓱...^^
셧터 스피드 및 ASA 다이얼 가운데 위치한 셧터 릴리즈 버튼도 뾰족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돌려주면 쉽게 풀어진다.

잠깐! 스프링 주의!!!!!!!!!!!!!!!!!!!!!!!!!!!!!!!!!!!!!!!!!!!
저 스프링은 제법 탄력이 강해 릴리즈 버튼이 통째로 튀어나갈 수 있다.
(2008.01.03)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