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오십부터래...

인생은 오십부터래... ^^

2011년 7월 18일 월요일

Minolta XG-1 (3)

Minolta XG-1 (3)







셧터 스피드/ASA 다이얼 밑에 뾰족한 핀이 있는데, 조립할 때 그 핀을 저 녹색 원 안의 구멍에 맞춰 넣으면 된다.
릴리즈 버튼이 꽂혀 있던 샤프트 가장자리의 고정 링은 빼도 좋고 안 빼도 상관이 없다.

여기까지 했으면 이제 top커버를 떼어내보자.



고정나사가 앞 뒤로 2개씩인데, 앞쪽에서 나온 고정나사는짧고 뒷쪽의 것은 길다.
근데, 나사가 엄청 뻑뻑하다. (드라이버 이빨이 나갈 것 같다)



으랏차...툭!
기세 좋게 top 커버를 들어올리는데 뷰파인더 커버가 툭 떨어진다.
허, 참, 맥 없기는...쯧.
top 커버 고정나사로 한꺼번에 고정되어 있었던 것. (아하, 뒷쪽 고정나사가 길었던 이유!)
인상 쓰지 맙시다.



제법 복잡하군. (저가의 자동화라서 칩도 별로 크지 않고 부품숫자도 별로 없는 듯)
고치러 들어온 것이 목적이 아니므로 특별한 것은 건드리지 말고 청소, 청소.
아, 이것을 연 이유는 접점들을 깨끗히 해주고 기름 필요한 곳에 기름칠하려고...
면봉에 알콜을 묻혀서 여기저기 닦아주면 납땜 시 사용했던 플럭스(flux)도 제법 묻어나온다.

여기가 다 되면 밑에도 가야겠지?



고정나사는 양쪽에 1개씩.
밑판 색깔이 다른 이유는, 약간 어두운 부분에는 표면보호용 테잎이 붙여져 있기 때문이다.
보호는 되겠지만 시간이 흐르니까 별로 깨끗해 보이지는 않는구먼.



아하! 침수의 흔적...
닦아주기 전에... 저 판 안쪽이 궁금하다. (안녕하신지?)



왼쪽은 고정나사만 녹이 슬렀고 오른쪽은 나사 및 스프링이 녹이 슬었는데, 작동에는 이상무!
녹을 제거하고 침수흔적을 없애고 기름 약간...



여기 녹물 나오는 것 봐라. (혼잣말 입니다요^^)
다행히도 납땜을 다시 해야 될 만큼 상태가 안 좋은 곳은 없다.
전류계로 테스트하고 Deoxit 좀 칠해주고...
다른데 흙먼지들은 Windex로 깨끗이 깨끗이...

다 된듯 싶으니 또 한 번 봐야지...



(2008.01.04)

댓글 없음:

댓글 쓰기